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
출력용 데에터 수정 출력용 데에터 수정 1. 편집 된 객체의 수정 1) 3D프린터에 파른 객체의 수정 3D 프린터에 따라 출력 가능 해상도가 다르다. 처음부터 특정 3D프린터의 출력 해상도를 고려하여 제작한 경우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 외의 경우는 3D모델링 데이터를 출력할 프린터의 해상도에 맞추어 데이터를 변경해야한다. 출력 할 3D프린터의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밀하게 모델링된 데이터의 경우 가장 작은 부분의 크기가 0.1mm 정도이고, 3D프린터의출력 가능 해상도가 0.4mm 인 경우에는 3D모델링데이터를 최소 0.4mm 이상으로 변경해야한다. 3D디자인소프트웨어의 스케일 기능을 이용하여 두께와 크기를 변경한다. 2) 슬라이서 프로그램에서 객체의 수정 슬라이서 프로그램은 3D프린팅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층별로 분류하여..
3D 형상데이터 편집 3D 형상데이터 편집 1) 손잡이 컵의 3D형상 델링 (1) 지급 된 작업 지시서를 분석하고 3D소프트웨어 환경 설정을 수행 ① 작업 지시서의 요구 사항, 모델링 방식 등을 분석하여 3D 객체 모델링을위한 뷰포트, 좌표계 등의 소프트웨어 환경 설정을 수행한다. 작업 지시서의 크기 단위를 고려하여 작업 환경 스케일을 설정한다. (2) 작업 지시서에 따라 3D객체를 모델링 ① 스케치 된 2D이미지를 이용하여 기본 라인을 형성한다. 손잡이 달린 검은 컵의 몸통과 손잡이로 나눔 수있다 컵 몸통통은 2D 라인을 회전시켜 만들고, 손잡이는 폴리곤모델링을하거나 단면에 라인 경로를 주어 만들수있다. 몸동을 만들기 위해 컵의 옆면 라인이 필요하다 작업 지시서의 도면이나 이미지가 찌다면 최대한 동일하게 라인을 그려야하고 ..
작업지시서작성 2. 작업지시서작성 1) 작업 지시서 작성 방법 작업 지시서란 제품 제작시에 반영해야 할 정보를 정리한 문서이다. 디자인 요구 사항, 영역, 길이 각도, 공차, 제작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있다. 디자인 요구 사항이란 디자인 결정 사항에 대한 설명과 입체로 만들어질때 발생 될 상황에 대한내용이다. 다음은 작업 지시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이다. (1) 제작개요 제작 물품명 : 제작할 물품명을 표기한다. 제작 방법 :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제작기간 : 제작 기간을 표기한다. 제작 수량 : 제작 수량을 표기한다. (2) 디자인 요구 사항 · 모델링 방법 : 모델링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표기한다. · 제작시주의 사항과 요구 사항을 작성한다. · 출력 할 3D프린터의 스펙 및 출력 가능 범위를 정확..
3D 형상 모델링 3D 형상 모델링 CAD 프로그램 활용 3차원 객체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3차원 좌표계를 사용한다. 3차원 공간의 좌표계는 축의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에 따라 오른손좌표계, 왼손좌표계로 나뉜다. 오른손 좌표계는 가로를 x축, 세로를 y축, 바라보는 시점을 기준으로 앞쪽 즉, 시점쪽이 z축 양의 방향이되는 것이다. 왼손 좌표계는 x축과 y축은 동일하나 z축이 시점에서 먼 쪽, 즉 시점 반대쪽이 z축방향이되는 것이다. 3D디자인 소프트웨어마다 좌표계 방향이 조금씩 다르므로 사용하고자하는 소프트웨어의 좌표계를 숙지하고 작업해야한다. 3D객체를 모델링하기위한 3D작업 공간을 viewport라고하며, 대개 4가지 화면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기본 설정은 Top. Front, Left, Perspective로 설정되어있..
스캔데이터 보정 1) 정합 (Registration) 스캔데이터는 보통 여러번의 촉정에 따른 점군 데이터를 서로 합친 최종데이터이다. 이렇게 개별 스캐닝작업에서 얻어진 점 데이터들이 합쳐지는과정을 징합이라고한다. 정합은 정합 용 고 정구 및 마커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측정 데이터 자체로 정합을 하는 경우가있다. (1) 정합 용 툴을 이용하는 경우 정합용 마키는 최소 3개 이상의 볼이 서로 정합 될 데이터에 모두 측정이 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부착한다. 서로 합쳐야 할 점 데이터에서 동일한 정합 용 볼들의 중심을 서로 매칭시킴으로써, 측정 데이터들이 하나로 합쳐지게된다. 정합용 볼을 이용한 전체 정합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측정 대상물에 3개의 정합용 볼을 부착시키고 피측정물과 모든 볼을 동시에 측정한다. 청색으로 ..
국내 산업에 적용 사례 및 전망 3D스캐너 및 3D프린터가 이용되는 대표적인 산업분야에서 제조공정에서의 혁신을 통한 원가절감, 산업 간 융복합화 촉진을통한 신산업창출과 고용창출 효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실시간 스캐닝기술과 응용SW개발 등 다양한 핵심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에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필요로 할 것이다. (1) 뿌리산업 주조, 금형, 소성 가공, 용접, 표면 처리, 열처리 등의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원료를 소재로,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만드는 기초 공정 산업을 말하며 자동차, 조선, IT 등 타 산업의 제조과정에서 공정 기술로 이용되어 최종 제품의 품질 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제조업 근간을 담당하는 산업,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진 금속제품 내부 구조와 동일한 사형 (Sand Core 제작을 목 형..
산업별 적용 가능 스캐닝 방식 선택2 3) 항공 우주 & 방위 산업 항공우주 & 방위 산업에서 3D스캐너는 시뮬레이션 검증을 위해 활용되며, 스캐닝 데이터는 설계 프로세스의 최 직화, 제품 개발주기 단축, 부품 내구성 및 노후화 검토를 통한 안전 보장을 위해 필요하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항공기 설계시 고밀도 공간 이미징 수집, 국가 방위 산업에서 품질 관리 및 검사, 역 설계, 유지 보수에 활용되면서 2016 년 4.7 억 원에서 연평균 8,4 % 성장률을 나타내며 급성장하고있다. 항공기 제작 비용 상승으로 인해 설계부터 안전 테스트, 품질 검사 등의 제작 프로 세 스에서의 비용 절감을 위해 고급 3D스캐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것으로 기대된다. 4) 건설 & 건축 산업 건설 & 건축 산업에서는 3D스캐닝 기술 BIM (Building I..
산업별 적용 가능 스캐닝 방식 선택 방법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공급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구분되어 있었지만 3D스캐닝 / 프린팅 기술은 생산 기반이 없어도 아이디어만으로 설계, 시제품 제작, 제조 (생산), 소비를 가능하게하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경계 구분없이 소비자가 생산자가되는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능하게하고 있다. 아울러 Maker Space 활성화로 전기전자, 로보틱스, 3D스캐너 / 프린터. CNC 등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제품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있는 공간이 전국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기성 제품을 맹목적으로 소비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와 기술, 도구를 활용하여 DIT (Do It Together)라는 슬로건으로 지식을 공유하면서 주체적으로 물건을 만드는 과정을 즐기는 Maker들의 활동 증가는 "프로슈..